파이썬 코딩도장 Unit 26 정리(30) - 세트 조작
3. 세트 조작하기 3-1. 세트에 요소 추가하기 add(요소)는 세트에 요소를 추가한다. >>> a = {1, 2, 3, 4} >>> a.add(5) >>> a {1, 2, 3, 4, 5} 3-2.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기 remove(요소)는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 >>> a = {1, 2, 3, 4, 5} >>> a.remove(3) >>> a {1, 2, 4, 5} discard(요소)는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그냥 넘어간다. >>> a = {1, 2, 4, 5} >>> a.discard(2) >>> a {1, 4, 5} >>> a.discard(3) >>> a {1, 4, 5} - 세트 a에 2가 있으므로 2를 삭제하고, ..
2022. 2. 9.
파이썬 코딩도장 Unit 26 정리(2) - 집합 연산
2. 집합 연산 사용하기 집합 연산은 파이썬의 산술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를 활용한다. | 연산자는 합집합( union)을 구하며 OR 연산자 | 를 사용하고 set.union 메서드와 동작이 같다. 세트1 | 세트2 set.union(세트1, 세트2) >>> a = {1, 2, 3, 4} >>> b = {3, 4, 5, 6} >>> a | b {1, 2, 3, 4, 5, 6} >>> set.union(a, b) {1, 2, 3, 4, 5, 6} - 세트 {1, 2, 3, 4}와 {3, 4, 5, 6}의 합집합을 구하므로 {1, 2, 3, 4, 5, 6}이 나온다. & 연산자는 교집합(intersection)을 구하며 AND 연산자 & 를 사용하고 set.intersection 메서드와 동작이 같다. ..
2022. 2. 8.
파이썬 코딩 도장 Unit 26 정리(1) - 세트 만들기
Unit 26. 세트 사용하기 파이썬은 집합을 표현하는 세트(set)라는 자료형을 제공한다. 세트는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등의 연산이 가능하다. 1. 세트 만들기 세트는 { } (중괄호)안에 값을 저장하며 각 값은 , (콤마)로 구분해준다. 세트 = {값1, 값2, 값3} >>> fruits = {'strawberry', 'grape', 'orange', 'pineapple', 'cherry'} >>> fruits {'pineapple', 'orange', 'grape', 'strawberry', 'cherry'} 세트는 요소의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아서 세트를 출력해보면 매번 요소의 순서가 다르게 나온다. 세트에 들어가는 요소는 중복될 수 없기 때문에 세트에 'orange'를 두 개 넣어도 실제..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