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1

파이썬 코딩도장 Unit 26 정리(30) - 세트 조작 3. 세트 조작하기 3-1. 세트에 요소 추가하기 add(요소)는 세트에 요소를 추가한다. >>> a = {1, 2, 3, 4} >>> a.add(5) >>> a {1, 2, 3, 4, 5}​ 3-2.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기 remove(요소)는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 >>> a = {1, 2, 3, 4, 5} >>> a.remove(3) >>> a {1, 2, 4, 5}​ discard(요소)는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그냥 넘어간다. >>> a = {1, 2, 4, 5} >>> a.discard(2) >>> a {1, 4, 5} >>> a.discard(3) >>> a {1, 4, 5}​ - 세트 a에 2가 있으므로 2를 삭제하고, .. 2022. 2. 9.
More Events 이벤트를 작성하는 방법은 두 가지인데, addEventListener을 사용해야 나중에 removeEventListener를 통해서 event listener를 제거할 수 있다. 위의 title은 html element였고, 이제 window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JS에서 document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듯이, window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화면을 resize하는 함수를 추가했다. 만약 document에서 body가 아닌 title을 호출했다면, 그것은 아래의 title이 아닌 html의 태그에 해당한다는 점을 알아두자 document.title 에서 title에 해당하는 것은 아래의 것이다. 헷갈림을 방지하기 위해 h1태그를 가리키는 title을 그냥 h1으로 변경했다. 이제 이 화면을 실행해보.. 2022. 2. 9.
파이썬 코딩도장 Unit 26 정리(2) - 집합 연산 2. 집합 연산 사용하기 집합 연산은 파이썬의 산술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를 활용한다. | 연산자는 합집합( union)을 구하며 OR 연산자 | 를 사용하고 set.union 메서드와 동작이 같다. 세트1 | 세트2 set.union(세트1, 세트2)​ >>> a = {1, 2, 3, 4} >>> b = {3, 4, 5, 6} >>> a | b {1, 2, 3, 4, 5, 6} >>> set.union(a, b) {1, 2, 3, 4, 5, 6}​ - 세트 {1, 2, 3, 4}와 {3, 4, 5, 6}의 합집합을 구하므로 {1, 2, 3, 4, 5, 6}이 나온다. & 연산자는 교집합(intersection)을 구하며 AND 연산자 & 를 사용하고 set.intersection 메서드와 동작이 같다. .. 2022. 2. 8.
파이썬 코딩 도장 Unit 26 정리(1) - 세트 만들기 Unit 26. 세트 사용하기 파이썬은 집합을 표현하는 세트(set)라는 자료형을 제공한다. 세트는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등의 연산이 가능하다. 1. 세트 만들기 세트는 { } (중괄호)안에 값을 저장하며 각 값은 , (콤마)로 구분해준다. 세트 = {값1, 값2, 값3}​ >>> fruits = {'strawberry', 'grape', 'orange', 'pineapple', 'cherry'} >>> fruits {'pineapple', 'orange', 'grape', 'strawberry', 'cherry'}​ 세트는 요소의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아서 세트를 출력해보면 매번 요소의 순서가 다르게 나온다. 세트에 들어가는 요소는 중복될 수 없기 때문에 세트에 'orange'를 두 개 넣어도 실제.. 2022.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