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코딩도장
파이썬 코딩도장 Unit 26 정리(30) - 세트 조작
chanfficial
2022. 2. 9. 15:31
3. 세트 조작하기
3-1. 세트에 요소 추가하기
- add(요소)는 세트에 요소를 추가한다.
>>> a = {1, 2, 3, 4} >>> a.add(5) >>> a {1, 2, 3, 4, 5}
3-2.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기
- remove(요소)는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
>>> a = {1, 2, 3, 4, 5} >>> a.remove(3) >>> a {1, 2, 4, 5}
- discard(요소)는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그냥 넘어간다.
- 세트 a에 2가 있으므로 2를 삭제하고, 3은 없으므로 그냥 넘어간다.>>> a = {1, 2, 4, 5} >>> a.discard(2) >>> a {1, 4, 5} >>> a.discard(3) >>> a {1, 4, 5}
3-3. 세트에서 임의의 요소 삭제하기
- pop()은 세트에서 임의의 요소를 삭제하고 해당 요소를 반환하며, 요소가 없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
>>> a = {1, 2, 3, 4} >>> a.pop() 1 >>> a {2, 3, 4}
3-4. 세트의 모든 요소를 삭제하기
- clear()는 세트에서 모든 요소를 삭제한다.
>>> a = {2, 3, 4} >>> a.clear() >>> a set()
3-5. 세트의 요소 개수 구하기
- 지금까지 리스트, 튜플, 문자열, range, 딕셔너리의 요소 개수를 구할 때 len 함수를 사용했던 것처럼 len(세트)는 세트의 요소 개수(길이)를 구한다.
>>> a = {1, 2, 3, 4} >>> len(a) 4